
줌콜로 진행하는 회사 북클럽에 조인했다.
책벌레로서 혹시 책 읽는 사람 모임이 있잖을까 검색했다 조인해 목록에 나오는 책들 사보고, 슬랙 채널 스니핑하다 어쩌다 시간이 맞아서 참여해 봤는데 앞으로도 시간이 맞으면 계속 참여하고 싶다. 채널에 코치님 81명이 들어와 계시는데 (코치가 아닌 사람은 나 뿐인 듯ㅋㅋ) 코치님들이 진행해서 그런지 역시 진행 역시 남다름.
마침 이 달의 도서는 얼마 전 읽은 Carol Dweck의 Mindset: How You Can Fulfill Your Potential이다. 보통의 많은 북클럽을 내가 꺼리는 이유는 시간이 길고, 심도 있는 토론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책을 요약하거나 너무나도 철학 수업처럼 흘러가는 진중한 방식 때문에 집중을 많이 하지 못하곤 하는데, 아래의 진행방식이 마음에 들어서 아래에 좋았던 점을 메모해 둔다.
재밌는 질문으로 진행을 시작하고 미팅에 참여한 다른 사람을 지목한다.
다는 기억이 안 나지만, “내가 똑똑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언제인지?” 에 관한 몇 가지 기억 나는 30초 정도의 짧은 대답들 “다른 사람에게 나의 경험이나 지식을 나누어줬을 때”, “연구했던 주제를 누군가 이야기하거나 멘션될 때, 내가 아는 내용일 때” 등. “나는 안경 끼면 똑똑하게 느껴져요.” 라고 말하며 “더 똑똑해 보이고 싶을 때 굵은 안경을 쓴다” 라고 하니 안경쓴 사람들 일동 모두 동감의 미소를 지었다. 라식 했지만, 안경 쓸 때 그런 기분이 들었다는 분도 계셨던 걸로. 잘 보면, 아무 말 대잔치 같지만 이 질문에 답하면서 계속 내가 대답 어떻게 할지 생각하고, 답변들에 순간순간 자주 공감하면서 집중하게 된다.
이어서, 퍼실레이터가 책의 챕터 별로 모인 사람들이 특정 주제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책에서 작가가 꺼낸 새로운 생각이 내가 생각하는 방식을 어떤 식으로 바꾸었는지, 어떻게 적용해 보고 있는지를 나눌 수 있는 오픈 엔드 질문을 미리 마련해 둔다.
너무 빨리 지나가서 잘 기억 안 나지만 아래는 몇 가지 생각나는 질문들.
- 실제로 내 삶에서, 달라진 부분이 있다면?
- 사람을 볼 때, 배우는 사람 또는 학습하지 않는 사람으로 나누는지.
- 시험에서 떨어지거나, 실직, 거절을 당하는 등의 부정적인 일들이 일어나고 나서 자신을 루저라 생각한 적이 있는지? 그때 어땠는지. 이런 굴욕적인 경험을 삶을 바꿀 수 있는 기회로 만들 수 있었는가.
- 줄곧 도전해보고 싶은 운동이 있었는데 운동 신경이 영 꽝이라 시도해 보지 않은 운동이 있는지? 어떤 운동인지, 어떻게 시작하게 됐는지?
- 리더는 만들어지는 것인지? 타고난 것인지? 왜?
이 중 여럿이 돌아가며 길게 이야기하는 질문도 있었고 아무도 질문에 대한 답이 없어 스킵하는 질문도 있었다.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거 듣다가 바로 점프인 하기도 하고, 꼭 책 읽지 않아도 참여 가능. 시간이 정해져 있으니 임팩트있게 할 말하고 끝내고 못다한 이야기는 슬랙에서 계속한다.
그래서 결론, 온라인 북클럽 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