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부터 장장 6개월 넘게 주말 동안 근면성실한 결과 인스트럭터가 되었고 최근 인요가 티처 트레이닝에 다녀왔다.
대게 인도네시아에 여행을 가면 발리에 가는데 지카르타에서 인요가 워크샵이 열린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무턱대고 자카르타 행을 결정했으니, 이쯤되면 꽤나 진지하게 덕질을 하고 있는 셈. 새로운 도반도 생겼다.
트레이닝을 갔다 왔으니 요가 얘기를 조금 해보자면 인요가라고해서 새로운 요가가 아니다. 내 식으로 쉽게 풀어보자면, 양스러운 요가는 몸에 있는 긴장들을 호흡, 태양 경배, 아사나를 통해 근육들의 화이팅을 넘치게해 갑작스런 혈액순환으로 인해 미처 생각이 올라올 틈이 없게 만드는 요가라면 인요가는 잠드는 것에 가깝게 온몸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긴장들을 의식해서 잡 생각이 자리할 틈을 내 주지 않는 요가다.
양이라고 나쁜 것도 아니고 인이라고 해서 더 좋은 것도 아니고 덜 좋은 것도 아니다. 나쁜 요가도 좋은 요가도 없다. 그때 그때 에너지 레벨에 따라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면서 부족하다 생각하는 부분을 채우는 요가를 하면 된다. 있는 그대로의 호흡을 느끼면서 말이지.
가르치는 걸 배우면서, 가르치면서, 가르침을 받으며, 배우는 사람들을 보며, 수련하며 스스로를 많이 돌아보게 된다.
요가를 열심히 하면 내가 더 나아지고 강해지고 유연해져서 멋지게 바뀔 것이라 생각하소 지금도 조금은 그렇게 기대한다. 또, 요가를 제대로 배워서 수련하면 일상생활도 좀 더 잘 하게 될 것 같았다. 그런데 이런 것들은 모두 나의 기대이고 현실은 해야할 일들과 이번 생의 과업은 무엇인가 하는 고민들의 연속이다.
분명 열심히 하면 모르긴 몰라도 달라지겠지만 그저 기대를 접고 잠시 머무를 수 있다면, 그 자체로도 충분하겠지.
아래는 드 선생님의 말이다.
“Love yoga for what it is, not for what it does for you”. Denise Pay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