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 에포크

Noom Holiday Party at Cipriani 25 Broadway

아직도 다니고 있는 것만 같은 정든 회사 눔을 졸업했다.

사진은 뉴욕에서 코로나가 일어나기 전 회사 연말 할리데이 파티에서 찍은 사진이다.

뉴욕 사람들도 가보고 싶어하는 치프리아니라는 곳에서, 마치 벨 에포크를 표현해주는 한 장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벨 에포크는 프랑스어로 아름다운 시절을 말한다. 19세기부터 제 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시간으로 아름다운, 좋은 시절로 프랑스가 사회, 경제, 기술, 정치적 발전으로 번성했던 시대를 일컫는 데에 회고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어떻게 지난 5년을 회고해 보면 좋을까 한참 고민했는데 이제서야 조금 실감이 나는 수준이다. 그동안 힘들었지만 부지런히 부딪히고 성장하고 실수하고, 또 헤쳐나가는 아름다운 시간을 보냈구나 하고 깨닫는 정도?

어느 정도 경력도 생겼으니 뭔가 더 잘 알게될 줄 알았는데, 전혀 그렇지가 않고 잘 이라는 건 뭘까 계속 고민이 된다. 끊임없이 시도하는 일의 버거움에 대해서도 생각한다. 할 수만 있다면 회피하고 싶은 마음도 들고 동시에 새로운 일을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도 든다.

대부분 숫자들로 둘러 쌓인 시간이었지만… 벨 에포크였다.

다시 가고 싶은 가모강

세 번째 방문, 관광객이 부쩍 많아져 인지 차들도 전보다 더 많이 지나가고 다리 근처는 조금은 부산했다. 통행로도 일부는 공사 중이다. 그러나 강물은 아랑곳하지 않고 흘러간다.

가모 강은 한강보다 강폭이 비교가 안 되게 좁지만 차분하여 압도당하지 않고 달리 알 수 없는 생각들을 떠나보내며 콘크리트 빌딩 속에서 잿빛으로 물든 마음을 회복하게 하는 힘이 있다.

새는 가까워졌다가 멀어져가고 자전거는 길을 따라 시선을 비켜나가고 모든 것이 조금씩 움직이지만 아무것도 머무르지 않는다.

socialtechnica

29541854_10216029524397059_6029645825258011742_n

여기 다시 가서 물 흘러가는 소리도 듣고 구름 흘러가는 것도 다시 보고 싶다. 너무 아름다워서 이 아름다운 걸 또 보기 위해서 열심히 살아야 겠다는 마음 마저 들었으니. 이상하리만치 아주 잠깐의 평화로운 순간들은 오랫 동안 기억에 남는다.

절대 같은 순간이 다시 오지 않을 걸 알아서 일까.

원본 글 보기 71단어 남음

마음 한쪽에는 언제나 풀과, 나무, 숲

할머니 집에 가는 길에 큰 나무 그루가 있는데, 그 나무가 별안간 보고 싶다. 저 멀리서 이 나무가 보이기 시작하면 시골 집에 다 도착한 거다.

날이 따뜻해 지거든 한 번 내려갔다 와야지.

어린이 시절엔, 이 나무에도 감흥이 없었을 뿐더러 대게 자연 경관에 별 감흥이 없었다. 그런데 요즘은 나무만 아니, 초록색이 조금이라도 보이면 별안간 마음이 편해져 버린다.

도시에서 나고 도시에서 자라 문명 없이 지내는 건 하루 이틀이 맥스이지만 희안하게도 마음 한쪽에는 언제나 풀과 나무, 숲이 있다.

요가가 뭐라고

지난 3월부터 장장 6개월 넘게 주말 동안 근면성실한 결과 인스트럭터가 되었고 최근 인요가 티처 트레이닝에 다녀왔다.

대게 인도네시아에 여행을 가면 발리에 가는데 지카르타에서 인요가 워크샵이 열린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무턱대고 자카르타 행을 결정했으니, 이쯤되면 꽤나 진지하게 덕질을 하고 있는 셈. 새로운 도반도 생겼다.

트레이닝을 갔다 왔으니 요가 얘기를 조금 해보자면 인요가라고해서 새로운 요가가 아니다. 내 식으로 쉽게 풀어보자면, 양스러운 요가는 몸에 있는 긴장들을 호흡, 태양 경배, 아사나를 통해 근육들의 화이팅을 넘치게해 갑작스런 혈액순환으로 인해 미처 생각이 올라올 틈이 없게 만드는 요가라면 인요가는 잠드는 것에 가깝게 온몸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긴장들을 의식해서 잡 생각이 자리할 틈을 내 주지 않는 요가다.

양이라고 나쁜 것도 아니고 인이라고 해서 더 좋은 것도 아니고 덜 좋은 것도 아니다. 나쁜 요가도 좋은 요가도 없다. 그때 그때 에너지 레벨에 따라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면서 부족하다 생각하는 부분을 채우는 요가를 하면 된다. 있는 그대로의 호흡을 느끼면서 말이지.

가르치는 걸 배우면서, 가르치면서, 가르침을 받으며, 배우는 사람들을 보며, 수련하며 스스로를 많이 돌아보게 된다.

요가를 열심히 하면 내가 더 나아지고 강해지고 유연해져서 멋지게 바뀔 것이라 생각하소 지금도 조금은 그렇게 기대한다. 또, 요가를 제대로 배워서 수련하면 일상생활도 좀 더 잘 하게 될 것 같았다. 그런데 이런 것들은 모두 나의 기대이고 현실은 해야할 일들과 이번 생의 과업은 무엇인가 하는 고민들의 연속이다.

분명 열심히 하면 모르긴 몰라도 달라지겠지만 그저 기대를 접고 잠시 머무를 수 있다면, 그 자체로도 충분하겠지.

아래는 드 선생님의 말이다.


Bird-01.104173009_logo“Love yoga for what it is, not for what it does for you”. Denise Payne

땀흘리는 여름

몸은 몹시 정직하다.

머리서기 자세 완전히 완성하고 사진 올리려고 했는데 반머리서기 자세하다 조금씩 어깨에 힘 싣고 등 펴고 배에 힘줄 수 있게 된 과정, 하나 하나가 너무 좋아서 나중에 꺼내 먹으려고 사진으로 기록해 둔다.

아직 홀딩을 오래 못하고 180도로 끌어 올리진 못 하지만 그래도 다리를 위로 펼 수 있게 됐다.

하루 하루의 변화가 놀라운 요즘, 좋은 것을 먼저 보자, 부족한 것보다.

다시 가고 싶은 가모강

29541854_10216029524397059_6029645825258011742_n

여기 다시 가서 물 흘러가는 소리도 듣고 구름 흘러가는 것도 다시 보고 싶다. 너무 아름다워서 이 아름다운 걸 또 보기 위해서 열심히 살아야 겠다는 마음 마저 들었으니. 이상하리만치 아주 잠깐의 평화로운 순간들은 오랫 동안 기억에 남는다.

절대 같은 순간이 다시 오지 않을 걸 알아서 일까.

 

계속 “다시 가고 싶은 가모강” 읽기

셀프 백 드랍

19554677_10215432996124225_5543946568068098679_n.jpg

나는 사실 비행기표를 손에 들고 여권에 입출국 스탬프 찍고 그러면서 설레곤 한다.

그런데 모바일 티켓 들고 셀프 배기지 드랍하는 거 완전 편해 버려서 이제 앞으로 종이 티켓을 들고 한쪽 귀퉁이를 뜯을 때의 설렘은 부러 수고를 하지 않는 이상 다시 만날 수 없을 테다.

이유가 있었겠지

나를 아끼는, 아꼈던 많은 사람들이 나를 지켜주기 위해서 나에게 차마 하지 못했던 많은 말들이 있다는 걸 나는 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모두 타서 재가 될 때까지 버텼을까. 그러지 않을 수도 있었는데 왜 그렇게 서 있었을까?

가끔 나 자신이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있는데, 지금은 그냥 그러려니 한다. 뭐, 이유가 있었겠지 한다. 무슨 이유인지 어디서 꼬인 건지 알면 또 어떻고 또 모르면 또 어떻나.

하지만 지나간 많은 일들에 조금 그리운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사실이다. 그냥 점점 자연스레 만나는 사람은 줄어들고 보고 싶은 사람은 많아져서 그런 것 같다.

10초 뿐이었지만

우르드바 다누라아사나를 가까스로 성공했다.

비록 10초 뿐이었지만! 드디어, 마침내 된 것입니다.

엉덩이 바로 윗쪽 척추 밑 부분이 치켜세워지고 팔을 약간 밖으로 벌려서 어깨를 더 내려서 더니 된 것 같기도 하고 팔에 힘이 더 들어가서 된 것 같기도 하고. 우연히 어쩌다 된 거라도 된 건 된거니 기뻐하겠다. 내일 하면 안 될지도 모르지만 뭐… 조만간 되겠지.

아직 머리 때는 게 넘나 무서웁지만, 무리하지 말고 상냥하게 하면 되는구나.

오늘은 뭐라도 할 수 있을 것 같네.